교수 상세

닫기
정재식
정재식
  • 박사
  • 영어영문학전공(과)
 교직원
정보
  • 연구실 : 다산관 214-2
  • 연구실 전화 : 2810
  • E-mail : jaechung88@ajou.ac.kr
  • 연구관심분야 : 비평이론, 문화연구, 인문예술치료, 의료인문학
  • 홈페이지 :
학력
  • 2005.09 State Univ. of New York at Buffalo 박사
  • 1997.02 연세대학교 석사
  • 1994.02 연세대학교 학사
논문 및 연구활동 연구활동(주요논문)
  1. [논문] 정재식,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심미적 마음의 회로 , 비평과이론 , pp.93 -117 (Jun, 2018)
  2. [논문] 정재식, <다크 나이트>(The Dark Knight)와 틈의 키아로스큐로(Chiaroscuro): ‘한 줌의 윤리’와 위험한 빛의 실험 , 비평과이론 , pp.231 -256 (Sep, 2016)
  3. [논문] 정재식, “Where Angels Fear to Tread” in Deleuze and Bateson: On a New Baroque of Plateaus and the Ecology of Non-Human Ecstasy , CONCENTRIC-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, Vol.41 , No.2 , pp.121 -141 (Sep, 2015)
  4. [논문] 정재식,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누가 오는가?: 데리다와 도래할 계산의 주체를 중심으로 , 비교문학 , Vol.66 , pp.169 -191 (Jun, 2015)
국제학술논문지
  1. [논문] 정재식, “Where Angels Fear to Tread” in Deleuze and Bateson: On a New Baroque of Plateaus and the Ecology of Non-Human Ecstasy , CONCENTRIC-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, Vol.41 , No.2 , pp.121 -141 (Sep, 2015)
국내학술논문지
  1. [논문] 정재식, “충분히 좋은” 헤겔: 위니컷-비온 정신분석과 치유적 변증법 , 비평과이론 , pp.155 -180 (Feb, 2025)
  2. [논문] 정재식, 애덤 스미스의 심미적 관조와 영성지능의 논리 , 비평과이론 , pp.143 -169 (Oct, 2021)
  3. [논문] 정재식,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이중구속의 선물(Gift)과 메타커뮤니케이션의 논리 , 영어영문학 , Vol.66 , No.4 , pp.585 -607 (Dec, 2020)
  4. [논문] 정재식, 라캉의 'Coming'의 바로크와 사유의 변곡점 , 비평과이론 , Vol.24 , No.1 , pp.77 -107 (Feb, 2019)
  5. [논문] 정재식,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심미적 마음의 회로 , 비평과이론 , pp.93 -117 (Jun, 2018)
  6. [논문] 정재식, 인공지능과 미래를 위한 개념 상자:어느 사피엔스(Sapiens)의“가보지 않은 길”과 픽션(Fiction) 쓰기 , 비평과이론 , Vol.22 , No.2 , pp.115 -137 (Jun, 2017)
  7. [논문] 정재식, <다크 나이트>(The Dark Knight)와 틈의 키아로스큐로(Chiaroscuro): ‘한 줌의 윤리’와 위험한 빛의 실험 , 비평과이론 , pp.231 -256 (Sep, 2016)
  8. [논문] 정재식,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누가 오는가?: 데리다와 도래할 계산의 주체를 중심으로 , 비교문학 , Vol.66 , pp.169 -191 (Jun, 2015)
  9. [논문] 정재식, 베일, 환상, 그리고 “당신을 문 개의 털”: 지젝 그리고 『페인티드 베일』(The Painted Veil)의 소설과 영화 사이에서 , 비평과이론 , Vol.19 , No.2 , pp.179 -207 (Dec, 2014)
  10. [논문] 정재식, 왜 비닐봉지 장면은 반복된는가?: <어메리칸 뷰티>(American Beauty), 혹은 지복(Beatitude)의 풍경 , 비평과이론 , Vol.18 , No.2 , pp.161 -184 (Dec, 2013)
  11. [논문] 정재식, 『파멜라』 혹은 빛의 형식: 순수, 오염, 그리고 계몽의 외설적 이면 , 18세기영문학 , Vol.10 , No.1 , pp.69 -97 (May, 2013)
  12. [논문] 정재식, 트리스트럼의 하비 호스(Hobby-horse)와 싸이의 B급 순수 에너지: ?트리스트럼 샌디?와 함께 <강남 스타일> 읽기 , 비평과이론 , pp.217 -238 (Dec, 2012)
  13. [논문] 정재식, 애덤 스미스의 예외의 경제신학: "공정한 관찰자"와 "보이지 않는 손"의 개념적 계보학 읽기 , 18세기영문학 , pp.29 -57 (Nov, 2012)
  14. [논문] 정재식, “Yes!”를 즐겨라! : 영화 <예스 맨>에 나타난 외설적 초자아와 자기계발 주체의 긍정의 양태 , 비평과이론 , Vol.15 , No.2 , pp.203 -230 (Dec, 2010)
  15. [논문] 정재식, 『라셀라스』의 “결론없는 결론”의 결론: 새뮤얼 존슨, 지젝 그리고 행복의 변증법 , 영미문학연구(Journal of English Studies in Korea) , No.19 , pp.81 -110 (Dec, 2010)
  16. [논문] 정재식, 『클라리사』의 바로크: 테네브리즘(Tenebrism)과 균열의 알레고리 , 근대영미소설 , Vol.16 , No.3 , pp.157 -184 (Dec, 2009)
  17. [논문] 정재식, 버지니아 울프의 "바로 그 지점": 일반 독자의 선물의 독서법과 독특성의 행복론 , 제임스 조이스 저널 , Vol.15 , No.1 , pp.189 -210 (Jun, 2009)
  18. [논문] 정재식, 갤로핑(Galloping)의 이중의 리듬: 『트리스트람 샌디』와 들뢰즈의 '강렬한 건강'의 글쓰기 , 18세기영문학 , Vol.6 , No.1 , pp.93 -121 (May, 2009)
  19. [논문] 정재식, 해체론의 눈(Eyes)과 자화상: 눈멂, 봄과 눈물 그리고 믿음에 대하여 , 비평과 이론 , Vol.13 , No.2 , pp.31 -54 (Dec, 2008)
  20. [논문] 정재식, S라인의 문화비평: 윌리엄 호가스와 전지현의 아름다움 분석 , 안과밖:영미문학연구 , Vol.2008 , No.24 , pp.323 -347 (May, 2008)
  21. [논문] 정재식, 흄과 들뢰즈의 공감이론 사용법: 경험론의 문학적 사용 가능성에 관하여 , 18세기 영문학 , Vol.4 , No.2 , pp.23 -50 (Nov, 2007)
국제학술발표
  1. [학술회의] 정재식, 중동태와 고원의 삶: 베이트슨, 윌프레드 비온 그리고 생태학적 정신분석 , Rethinking the Global in English Studies Th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 (ELLAK) (Dec, 2024)
  2. [학술회의] 정재식, 애덤 스미스의 심미적 관조와 영성지능의 논리 , 2019 ELLAK International Conference (Dec, 2019)
  3. [학술회의] 정재식, Bateson, Deleuze, and Mapping the Image of the “Brain to Come”: the Sacredness of the Neo-Baroque and Ecological Cybernetics , International Deleuze Studies in Asia(The 4th Conference) (Jun, 2016)
  4. [학술회의] 정재식, Idolatory of the Young Female Body and the Erography of Moisture in Pamela and Girls' Generation' , The ACLA 2012 Annual Meeting (Apr, 2012)
국내학술발표
  1. [학술회의] 정재식, 충분히 좋은 헤겔: 정신분석과 치유적 변증법 , 사유의 위기와 지평: 이론의 재발견과 재발명 너머로 (May, 2024)
  2. [학술회의] 정재식, 너의 천재성을 즐겨라!: <월든>의 영성지능과 현자의 시간 , 2022년 새한영어영문학회 봄 학술 발표회 (May, 2022)
  3. [학술회의] 정재식, 애덤 스미스의 "보이지 않는 뇌: 공감 사이버네틱스와 심미적 관계망 , 2018 한국비평이론학괴 봄 학술대회 (May, 2018)
  4. [학술회의] 정재식, 인공지능과 “가보지 않은 길”: 어느 사피엔스의 꿈과 픽션 ,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인류의 미래: 희망과 절망의 경계에서 (Oct, 2016)
  5. [학술회의] 정재식, 싸이(Psy)의 하비 호스(Hobby Horse)와 <강남 스타일>의 B급 순수 에너지 , 2012년도 한국영어영문학회 국제학술대회 (Dec, 2012)
  6. [학술회의] 정재식, 로빈슨 크루소, 애덤 스미스 그리고 고전적 호모에코노미쿠스의 초자아적 시선 , 21세기에서 문화연구 다시 보기 (Nov, 2011)
  7. [학술회의] 정재식, 애덤 스미스의 경제 신학의 두 가지 가능성 , 신자유주의와 비평이론 , pp.47 -55 (May, 2011)
  8. [학술회의] 정재식, 『파멜라』의 촉촉함의 에로-그라피 : 순수, 오염 그리고 계몽의 외설적 이면 , 계몽주의와 에로티시즘 , pp.26 -30 (Apr, 2011)
  9. [학술회의] 정재식, 『라셀라스』의 "결론없는 결론": 새뮤엘 존슨, 지젝 그리고 행복의 변증법 ,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 , Vol.1 , No.1 , pp.510 -513 (Nov, 2009)
  10. [학술회의] 정재식, 버지니아 울프의 "바로 그 지점": 일반 독자의 선물의 독서법과 독특성의 행복론 , 버지니아 울프: 안과 밖 , Vol.00 , No.00 , pp.21 -33 (Apr, 2009)
  11. [학술회의] 정재식, 해체론의 눈과 자화상 , BK 콜로키엄 강연 , Vol.00 , No.00 , pp.1 -15 (Dec, 2008)
  12. [학술회의] 정재식, <트리스트람 샌디>와 들뢰즈의 '강렬한 건강'의 글쓰기 , 2007년 봄 근대영미소설학회 , pp.45 -55 (Jun, 2007)
  13. [학술회의] 정재식, 호가스의 아름다움, 혹은 S라인의 미적발명 , 18세기의 틀과 기준 만들기 , pp.29 -37 (May, 2007)
특허 및 기타
갤러리